2017년 6월 9일 금요일

우현 우상호 의원 프로필 고향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30주기 이한열 열사 추도식'에서 "정권교체로 이한열 열사의 꿈이 일부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 2017년 6월 9일 오후 3시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한열동산에서 열린 추도식에서 우 의원은 "지난 30년은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와 저에게 고통스러운 시간의 연속이었다"라며 입을 뗐습니다.


그는 "떨쳐버리려 해도 떨쳐버릴 수 없는 6월9일의 기억 때문"이라며 "그날 제가 연세대 도서관 민주광장에서 '오늘은 결코 물러서지 말자'는 얘기 안 했더라면, '생명 다하도록 전두환과 맞서 싸우자'고 말하지 않았더라면 한열이가 물러서지 않았을까"라고 생각했다고 밝혔습니다.


우 의원은 "학생회장인 저 대신 22살 평범한 대학생이 왜 쓰러져 숨져야 했을까 하는 생각에 괴로운 30년이었다"고 말했다. 우 의원은 6월 항쟁 당시 연세대 총학생회장이었습니다. 또 "그날 (이한열 열사와 반대로) 후퇴했던 수없이 많은 학생들이 울면서 반성했다"며 "'시청 앞에 가면 경찰이 다가와도 물러서지 말자'고 다짐했고 그게 6월 항쟁의 시작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우 의원은 지난해 광화문 촛불집회에 모인 시민들을 보고도 울었다. '국민들이 이한열을 잊은 게 아니구나', '민주주의 열망 잊지 않았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당시 생각을 밝혔다. 그는 "많은 국민들이 정권교체로 이한열을 잊지 않았다고 대답해주는 듯했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된 뒤 우 의원은 또 한 번 울었다. "한열아, 이 정도면 되었냐"는 생각이 들었다고 당시 감정을 설명했습니다.

우 의원은 "30주년이 된 오늘 이곳을 내려다보는 한열이는 밝게 웃고 있을 것"이라며 "그의 꿈이 일부 이뤄졌고 또 진전될 수 있다는 희망이 하늘나라에 있는 한열이에게 전달됐을 거라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추도식에는 우상호·문희상 더물어민주당 의원과 이한열 열사 어머니 배은심씨, 김학민 이한열기념사업회 이사장 등 3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